부가세 과소신고 가산세
부가세 과소신고 가산세

부가가치세 과소신고 가산세 & 감면 방법 완벽 정리!

청구스

2025. 4. 13.

부가세 과소신고 가산세

“신고는 했는데 왜 가산세가 나왔죠?”

최근 저희 고객사 대표님 한 분이 굉장히 당황하신 목소리로 연락을 주셨어요. 처음으로 억대 매출이 난 기쁜 상황이었는데, 부가세 정산 고지서를 받고 기분이 싹 가셨다고 하시더라고요.

사유는 부가가치세 과소신고 가산세.
분명히 성실히 신고했다고 생각하셨는데, 거래 중 일부가 누락되면서 의도치 않게 ‘과소신고’로 처리된 거였어요.

혹시 여러분도 비슷한 경험 있으신가요?
이 글에서는 실무자 입장에서 꼭 알아야 할 과소신고 가산세의 개념부터 감면받는 팁, 주의할 점까지 쏙쏙 정리해드릴게요.


📌 부가가치세 과소신고 가산세란?

‘신고는 했지만, 전부는 아니었다’
과소신고 가산세는 이름 그대로 신고는 했지만, 실제보다 적게 신고한 경우에 부과되는 세금입니다.

쉽게 설명해볼게요.

  • 실제 공급가액: 1억 원

  • 실수로 신고한 금액: 9천만 원

  • 이에 따른 부가세도 100만 원이 빠짐

👉 이 100만 원에 대해 10%의 가산세가 부과됩니다. 즉, 10만 원이 추가로 나오는 거예요.

생각보다 흔한 사례입니다.
특히 간이과세자와의 거래, 누락된 현금 매출, 지연된 세금계산서 등 실무에서 마주칠 수 있는 요소들이 많거든요.


😱 무신고 vs. 과소신고 가산세, 뭐가 더 셀까?

정답은 무신고 가산세가 훨씬 셉니다.

구분

가산세율

무신고

20%

과소신고

10%

예를 들어 볼게요.
내야 할 세금이 1,000만 원인데,

  • 신고 안 하면 → 200만 원 추가 부담

  • 일부만 빠뜨리면 → 10만 원 추가 부담

즉, 일단 신고부터 하는 게 훨씬 낫다는 뜻입니다.
신고하고 나서 빠진 부분이 있다면 수정신고로 대응하는 게 실무 전략이에요.


💡 과소신고 가산세, 감면 가능할까?

네, 충분히 감면받을 수 있습니다.

핵심은 ‘언제’ 수정신고하느냐입니다.

수정신고 시기

감면율

실제 가산세율

1개월 이내

90%

1%

1~3개월

75%

2.5%

3~6개월

50%

5%

6~12개월

30%

7%

12~18개월

20%

8%

18~24개월

10%

9%

예시로,
100만 원 과소신고했다면 원래 가산세는 10만 원.
하지만 1개월 내 자진 수정신고 시 단 1만 원만 부담하면 됩니다!

👩‍💻 실제 사례
한 고객사에서 3분기 매출 중 일부가 누락된 걸 한 달 반 뒤에 알게 됐어요. 원래 70만 원이 넘는 가산세가 나올 상황이었지만, 2.5% 감면율로 17만 원만 납부하셨어요. 이건 담당자분도 정말 감사해하셨던 기억이 납니다.


🧾 납부불성실 가산세도 따로 있다?

네, 과소신고 외에도 또 하나 있습니다. 바로 납부불성실 가산세.

이건 ‘신고는 제대로 했지만, 세금 납부를 늦게 한 경우’에 붙는 이자 같은 가산세입니다.

  • 하루당 0.025%

  • 1년 기준 약 9.125%

예를 들어, 100만 원을 한 달 늦게 냈다면?
👉 약 22,000원의 추가 가산세 발생.

세금은 신고와 납부 모두 기한 내에 마무리해야 안전합니다.


✅ 과소신고 방지하는 실무 팁

실무에서 실수 없이 신고하려면, 아래 두 가지를 꼭 체크해주세요.


1. 매출 누락 가능성 높은 구간 점검하기

  • 세금계산서 발행 지연: 특히 B2B 거래 시 상대방이 늦게 보내는 경우

  • 간이과세자 거래: 홈택스에 안 찍히는 경우 많음

  • 현금결제 후 증빙 미처리: 담당자가 깜빡할 수 있어요

📌 저도 예전에 간이과세자랑 현금거래한 내역을 빼먹고 큰일 날 뻔한 적이 있었어요. 그 후부턴 엑셀로 직접 매출 검토하고, 누락 여부를 세무사랑 이중 체크합니다.


2. 기장 대행 맡겼더라도 신고서는 꼭 직접 확인

세무대리인이 99% 정확하다고 해도, 1% 실수는 언제든 있을 수 있어요.
대표자 본인이 최종 신고서를 직접 검토하는 습관이 필요합니다.


💬 결론: 빠른 수정신고가 가장 큰 방패!

과소신고 가산세는 방심하면 꽤 큰 금액이 나올 수 있지만, 신속한 대처로 충분히 줄일 수 있는 세금입니다.

국세청 통지서 받으셨다고 놀라지 마시고,
📌 수정신고 타이밍만 잘 잡으면 최대 90%까지 감면 가능하다는 것, 꼭 기억해주세요!


🤖 세금 정리도 자동으로? ‘청구스’로 해결하세요

부가세 실수의 대부분은 거래 누락이나 정리 지연에서 발생합니다.
‘청구스’는 세금계산서 발행부터 입금 확인, 미수 관리까지 자동화해주는 청구 관리 솔루션입니다.

매출 누락, 엑셀 실수, 입금 확인 누락이 걱정된다면
👉 이제 ‘청구스’ 하나로 모두 해결하세요. 청구스 바로가기!.


📚 자주 묻는 질문 (Q&A)

Q1. 과소신고 가산세는 꼭 수정신고 해야만 감면되나요?

네, 자진 수정신고를 해야만 감면됩니다. 국세청에서 먼저 통보하면 감면 대상이 아니니, 스스로 먼저 인지하고 신고하는 게 중요해요.


Q2. 세무대리인이 신고를 잘못해도 가산세는 제가 내야 하나요?

기본적으로는 납세자 책임입니다. 다만, 대리인 과실이 명백할 경우 민사상 손해배상청구는 가능하니, 사전에 계약서 확인이 중요해요.


Q3. 1년 전에 과소신고한 걸 이제 알게 됐어요. 수정신고 가능한가요?

네, 가능합니다. 수정신고는 통상적으로 5년 내에 가능하지만, 감면율은 1년이 넘으면 20% 이하로 떨어지므로 최대한 빠르게 진행하세요.


✏️ 추천 글!

▶ B2B 기업의 매출을 올리는 청구 전략 - 리포트 무료 배포

▶ 거래명세서 양식 엑셀 무료 다운로드 - 거래 필수 문서

▶ 부가세 신고 실수? 5년 안에 돌려받는 방법, 경정청구 A to Z

뉴스레터 구독하기

아래 버튼 클릭 후 이메일 제출하면
매주 위 글과 같이 꼭 알아야 할 재무 · 세무
블로그 글을 이메일로 보내드려요!

뉴스레터 구독하기

아래 버튼 클릭 후 이메일 제출하면
매주 위 글과 같이 꼭 알아야 할 재무 · 세무
블로그 글을 이메일로 보내드려요!